[미디어펜] - “대형마트 영업규제, 지역양극화 초래...지방소비자 후생 훼손”
이커머스 활성화로 수도권은 `새벽 배송`...지방에는 온라인 없어 불가
대형마트에 대한 영업규제가 지역양극화를 초래하고, 지방에 사는 소비자들의 후생을 훼손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커머스가 활성화되면서 수도권에는 `새벽 배송` 경쟁이 벌어지고 있으나, 온라인 쇼핑몰이 없는 지방에선 대형마트 영업시간 규제로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의무 휴업`을 하면, 온라인이나 다른 지역 매장을 이용하고 있어, 오히려 대형마트 주변 상권이 더욱 침체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 언텍트 소비가 대세가 된 상황에서, 대형마트에 대한 `낡은 규제`가 오히려 `부메랑`이 되고 돌아오고 있는 것.
소비자정책 감시단체인 `컨슈머워치`가 코로나19 상황에서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으로 13일 개최한 `소비자와 지역상권을 위한 대형마트의 역할` 세미나에서는, 이런 시대에 뒤떨어진 대형유통업체 규재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컨슈머워치 제공
지난 2012년 1월 17일 공포된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대형마트 의무 휴업이 시행된 지 10년째가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이날 세미나 주제발표에 나선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이커머스 활성화로 수도권은 새벽 배송이 정착됐지만, 지방에는 새벽 배송이 되는 곳이 없어, 영업규제가 오히려 지역 간 소비자 후생의 불균형만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대형마트의 영업일 및 영업시간 제한 시, 온라인 영업은 예외로 허용해야 한다"면서 "지방에도 새벽 배송이 된다면 소비자들에게 큰 혜택이고, 지방 대형마트의 `폐점 도미노`에 따른 지역 상권 붕괴와 일자리 감소를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소비자 후생 차원에서 현행 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해야 한다"면서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의무 휴업하면, 온라인이나 다른 지역 매장을 이용하고 있어, 오히려 대형마트 주변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매출이 감소하는 등, `상권 침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코로나19가 가져온 비대면 언택트 소비의 확산은, 10년간 이어져 온 유통업 규제가 스스로 `족쇄`가 됐음을 방증한 것"이라며 "소비자 후생 감소와 지역 간 불균형을 막기 위해서라도, 최소한의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전현배 서강대 교수는 "대도시 지역에 비해 비도시 지역은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와 폐점으로, 소비자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면서 "온라인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온라인을 이용하기 어려운 50대 이상 고령층 소비자들의 효용이 대폭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는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각 지역별 차이를 우선 고려해야 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간 `역차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공생`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토론자인 정회상 강원대 교수는 "대형마트 영업규제는 소비자들의 `혼잡비용`만 증대시킨다"며 "대형마트의 진입은 그 지역상권과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고, 고용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현행 유통산업발전법은 유통산업의 효율성 제고와 소비자보호는 안중에 없는 `중소유통업보호법`이라고 비판하고 "우리나라처럼 대형 유통업을 규제하는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고 역설했다.
윤광원 기자
미디어펜 2021.7.14.
NO. | 제 목 | 글쓴이 | 등록일자 |
---|---|---|---|
554 | [이지경제] “지침 따랐는데 1000억 내라고?”…이통3사, 공정위 과징금에 법적대응 예고 컨슈머워치 / 2025.03.13 |
||
553 | [EBN] "공정위, 이통3사 단통법 성실 이행 '담합' 낙인" 컨슈머워치 / 2025.03.12 |
||
552 | [이데일리] 컨슈머워치 “정부의 알뜰폰 도매대가 사전규제 재추진, 절대 반대” 컨슈머워치 / 2025.01.17 |
||
551 | [뉴시스] 한국소비자원, 상임이사에 곽은경 컨슈머워치 사무총장 임명 컨슈머워치 / 2025.01.06 |
||
550 | [뉴스1] 소비자원, 신임 상임이사에 곽은경 컨슈머워치 사무총장 임명 컨슈머워치 / 2025.01.06 |
||
549 | [연합뉴스] 한국소비자원 상임이사에 곽은경 컨슈머워치 사무총장 컨슈머워치 / 2025.01.06 |
||
548 | [한국경제] "규제 혁신해 민간참여 확대해야 시니어주택 활성화" [집코노미-집 100세 시대] 컨슈머워치 / 2024.12.12 |
||
547 | [데일리팝] 초고령 시대 앞두고 시니어 주거시설 관심 급증..세제 혜택 개선·규제 완화 지적 이어져 컨슈머워치 / 2024.12.12 |
||
546 | [디지털타임스] 케어닥 "초고령화사회, 시니어 니즈 대응 위해 '규제 혁신' 필수" 컨슈머워치 / 2024.12.10 |
||
545 | [스트레이트뉴스] "규제 혁신, 민간 참여 확대".. 시니어 주거시설 정책토론회 컨슈머워치 / 2024.12.10 |
||
544 | [라포르시안] 케어닥 “규제 혁신 통한 시니어 시설 민간 참여 확대해야” 컨슈머워치 / 2024.12.10 |
||
543 | [이뉴스투데이] 케어닥 “규제 혁신 통한 시니어 시설 민간 참여 확대 필수” 컨슈머워치 / 2024.12.10 |
||
542 | [이뉴스투데이] 케어닥, 전용기 의원 주최 시니어 시설 국회정책토론회 참석 컨슈머워치 / 2024.12.02 |
||
541 | [로톡뉴스] 2024 소비자 권익대상 시상… 입법, 연구, 기업, 단체 등 4개부문 수상자 선정 컨슈머워치 / 2024.11.29 |
||
540 | [뉴시스] 배달앱 논란 눈덩이…"무료배달 쓰지마" 컨슈머워치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