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 이슈

[논평] 대출규제, 금융 소비자들만 고통받는다.

• 글쓴이: 컨슈머워치  
• 작성일: 2022.01.18  
• 조회: 567

대출규제, 금융 소비자들만 고통받는다.


새해에는 은행 대출이 더 어려워질 전망이라고 한다. 은행들이 지켜야 할 가계대출 총량관리 기준이 더 까다로워졌다. 개인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도 앞당겨 시행되고, 금리 인상도 예고됐다.



부동산 정책실패에 따라 급격히 상승한 집구매 가격을 충당하기 위한 대출이 늘어난 것을 위험 신호로 보고, 정부가 대출 총량을 규제하기 나섰다. 그 결과 대출 자체가 불가함을 물론, 대출 금리 상승으로 금융 소비자의 부담이 늘어났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올해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치는 4~5%로 지난해(5~6%)보다 더 빡빡해졌다. 대출 수량 증가를 은행이 조절해야 하나 국내 금융산업 특성상 금융당국의 권고치를 따를 수밖에 없다.


여기에 올해부턴 DSR 2단계가 시행된다. DSR은 신용대출과 주담대 등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이달부터 2억원 넘는 대출을 받을 때 1년 동안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 합이 연 소득의 40%를 넘을 수 없다. 차주의 상환 능력을 보며 돈을 빌려주겠단 것이다.



문제는 대출을 둘러싼 규제가 까다로워지면서 연초부터 선착순 대출 현상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영업점이 정해놓은 총량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매달 초 몰릴 수 있다. 지난해 대출 중단에 따른 학습 효과로 가수요 유입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대출 대란이 벌어질 경우 소비자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 실수요자가 대출을 받지 못하는 규제 역효과가 되풀이될 수 있다는 얘기다.



올해 기준금리 인상기가 시작되면서 대출금리도 점차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 상단은 6%에 육박했으며, 신용대출금리도 5% 중반을 넘어섰다. 대출금리 6%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저축은행이나 상호금융권도 기준금리 상승에 따라 대출금리를 조정하는만큼, 차후 금리 상승은 불가피할 것이다.


정부가 금리를 올라가게 한 것은 소비자에게 큰 부담이 된다. 특히 다중채무자, 청년층,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은 자칫 벼랑 끝으로 내몰릴 수 있다.


그나마 전세 및 잔금 대출 등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서 빠지도록 할 방침이라고 한다. 고금리·변동금리 상품을 저금리·고정금리로 갈아타게 하는 전환 프로그램도 도입할 예정이라고 하니 다행이다.


하지만 여전히 금융소비자에게 대출 규제는 심각한 문제이다.

부동산 정책의 실패의 짐을 금융소비자에게 전가하여 부담하게 하는 대출규제를 시급히 해소해야 한다.


2022.1.18.

컨슈머워치

• 전체 : 126 건 ( 1/9 쪽)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126 [논평] 규제 지키면 담합, 규제 어기면 불법인가 공정위의 이통3사 과징금 부당하다
컨슈머워치 / 2025.03.12
컨슈머워치 2025.03.12
125 [보도자료] 컨슈머워치 “돈 빌리기 어려운 서민이 주로 대부 이용… 제도권 유입시켜야”
컨슈머워치 / 2025.02.13
컨슈머워치 2025.02.13
124 [논평] 정부의 알뜰폰 도매대가 사전규제 재추진, 절대 반대한다
컨슈머워치 / 2025.01.17
컨슈머워치 2025.01.17
123 [논평] 배달앱 상생협의체의 ‘무료배달 중단’ 압박, 소비자 권익 침해이자 중대한 월권이다
컨슈머워치 / 2024.11.01
컨슈머워치 2024.11.01
122 [논평] 공정위의 지배적 플랫폼 사전지정제 미도입, 시장 자율에 부합하는 올바른 결정이다
컨슈머워치 / 2024.09.10
컨슈머워치 2024.09.10
121 [보도자료] 컨슈머워치, 미국 소비자선택센터와 업무협약(MOU) 체결
컨슈머워치 / 2024.07.18
컨슈머워치 2024.07.18
120 [보도자료] 공정거래위원회, 플랫폼 규제 전에 소비자 피해 입증해야
컨슈머워치 / 2024.07.08
컨슈머워치 2024.07.08
119 [논평] 공정위 쿠팡 과징금 폭탄, 소탐대실 우려된다
컨슈머워치 / 2024.06.13
컨슈머워치 2024.06.13
118 [논평] 비싸지기만 하는 원유가격 인상, 반대한다
컨슈머워치 / 2024.06.12
컨슈머워치 2024.06.12
117 [논평] 비대면진료 법제화 의료법 개정안 발의 환영, 22대 국회가 바톤 이어가야
컨슈머워치 / 2024.05.20
컨슈머워치 2024.05.20
116 [논평] 소비자 권익을 침해하는 홀드백 규제, 전면 재검토하라 [193]
컨슈머워치 / 2024.03.18
컨슈머워치 2024.03.18
115 [논평] 약 배송 허용을 위한 약사법 개정, 이제 국회의 적극적 논의가 필요하다
컨슈머워치 / 2024.02.19
컨슈머워치 2024.02.19
114 [논평] 윤석열 대통령의 디지털 규제 혁신 의지, 적극 환영하며 정책 추진을 기대한다
컨슈머워치 / 2024.01.30
컨슈머워치 2024.01.30
113 [보도자료] 플랫폼법 반대 소비자 서명운동 5,000명 돌파
컨슈머워치 / 2024.01.25
컨슈머워치 2024.01.25
112 [논평] 규제 철폐 앞장서는 정부, 국민 지지 믿고 더 과감한 혁신 나서야
컨슈머워치 / 2024.01.24
컨슈머워치 2024.01.24